우분투 서버에 원격으로 화면을 보기 위해 VNC 서버를 설치하고자 합니다.
서버에 VNC 서버 설치하고 세팅하는 방법과 원격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VNC 서버 설치
명령어를 통해 서버를 설치합니다.
$ sudo apt-get install tigervnc-standalone-server tigervnc-xorg-extension
설치 확인
$ dpkg --list |grep vnc
잘 설치되었다면 비밀번호를 설정해줍니다.
$ vncpasswd
비밀번호는 6자리 이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.
Would you like to enter a view-only password (y/n)?
여기서는 n으로 입력하여 완료합니다.
2. 설정 파일 수정
설정 파일을 열고 내용을 수정합니다.
$ vi ~/.vnc/xstartup
아래 내용으로 수정해줍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|
#!/bin/sh
#xrdb $HOME/.Xresources
#xsetroot -solid grey
#x-terminal-emulator -geometry 80x24+10+10 -ls -title "$VNCDESKTOP Desktop" &
#x-window-manager &
# Fix to make GNOME work
#export XKL_XMODMAP_DISABLE=1
#/etc/X11/Xsession
export XXL_XXODMAP_DISABLE=1
export XDG_CURRENT_DESKTOP="GNOME-Flashback:Unity"
export XDG_MENU_PREFIX="gnome-flashback-"
unset DBUS_SESSION_BUS_ADDRESS
[ -x /etc/vnc/xstratup ] && exec /etc/vnc/xstartup
[ -r $HOME/.Xresources ] && xrdb $HOMS/.Xresources
xsetroot -solid grey
vncconfig -iconic &
exec /usr/bin/startxfce4 &
autocutsel -fork
xrdb $HOME/.Xresources
gnome-session --session=gnome-flashback-metacity --disable-acceleration-check --debug &
|
cs |
3. VNC 서버 실행
아래 명령어로 VNC 서버를 실행하겠습니다.
$ vncserver :2 -localhost no
외부 접속을 허용하기 위해 -localhost no 옵션을 작성합니다.
VNC 서버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$ vncserver -list
아래 명령어를 통해 포트를 확인해봅니다.
$ netstat -tnlp
위에서 서버를 실행할 때 :2 로 실행했기 때문에 5902 포트가 LISTEN 상태가 되어있을 것입니다.
:1 로 실행했다면 5901 포트
:2 로 실행했다면 5902 포트
만약 VNC 서버 종료를 원할 경우 X DISPLAY를 kill 해줍니다.
$ vncserver -kill :2
4. 접속 확인
아래 링크에 접속하여 다운로드합니다.
원격으로 접속할 PC에 맞는 OS를 선택해서 다운로드하면 됩니다.
https://www.realvnc.com/en/connect/download/viewer/macos/
Download VNC Viewer for macOS | VNC® Connect
Control VNC® enabled computers with VNC® Viewer.
www.realvnc.com
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접속 정보를 입력하고 접속을 시도합니다.
VNC Server - ipAddr:port
Name - 우분투 계정
연결을 하게 되면 비밀번호를 물어보게 되는데 위에서 만들었던 6자리 이상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.
'IT, 개발 > 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Crontab 설정 및 Crontab 로그 보는 방법 (0) | 2022.10.24 |
---|---|
Jmeter - COAP 통신을 위한 설정 (이클립스 Maven Install) (0) | 2022.09.21 |
우분투 방화벽설정 포트 오픈 (firewall-cmd, iptables) (0) | 2022.09.13 |
RabbitMQ를 사용한 MQTT 통신 구성하기(Ubuntu) (0) | 2022.09.08 |
Kafka 우분투에 설치 방법(kafka 설치, topic 생성, 통신 테스트) (0) | 2022.09.06 |